봉제 생산 시스템
페이지 정보
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3-03-04 10:05 조회147회 댓글0건관련링크
본문
☞ 원재료 이동면의 분류 [봉제 생산 시스템]
1. 스트레이트 라인 시스템(straight line system) - 소품종 대량생산 : 재봉기를 일렬로 배열하여 한 작업자가 하나의 공정만을 담당하는 방식
2. 싱크로나이즈 시스템(synchronized system) - 소품종 대량 생산 : 몇 가지의 작업 단위를 세분화하여 각 작업자가 가지는 시간을 균등히 함으로써 하나의 리듬에 의해 진행되는 방식 : 제품 불량시 원인을 즉시 파악할 수 있고, 비숙련자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, 공정의 진행사항을 파악하기 쉽다 : 봉제공정을 분업화함에 있어서 작업단위를 세분화하여 작업자 개인의 작업시간을 균등화하면서 일관성 있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
3. 번들 시스템(bundle system) - 소품종대량생산 : 한 묶음 단위의 흐름작업으로 봉제된 부품들이 한 묶음으로 접속되어 다음 공정으로 넘겨지는 방식이다 : 공정 간의 이동거리가 멀고, 공정 간에 작업량이 많거나 재고품이 많고, 생산기간이 길다는 등의 특징이 있다
4. 메이킹 스루 시스템(making through system) - 다품종 소량생산 : 한 작업자가 한 벌의 의복을 완성하는 생산방식
5. 블록 시스템 (black system) - 다품종 소량생산 : 작업자 4~6명을 한 블록으로 묶어 블록별로 독립된 공정업무와 책임을 분담하는 시스템 : 품종의 변화에 쉽게 적응하며, 품질이 높아지고, 동일.유사공정을 부분적으로 함께 편성할 수 있다. 여러 공정을 한 작업자가 완성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가 요구된다.
6. 콘베이어 시스템(conveyor system) : 자동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작업물의 흐름에 이용하는 방식으로,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높아지고 생산비용이 낮아진다.
7. 퀵 리스폰스 시스템 (QRS : quick reponse system) : 일본에서 개발된 방식으로 개인적인 스타일의 주문이 소량일 때 시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식으로 모든 작업자들이 서서 작업을 하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.
※ 레이아웃(lay-out) : 제품 생산방식에 따라 작업자와 기계설비를 효율적으로 배차하는 것을 의미 : 목적 - 생산성향상, 생산기간의 단축, 생산량의 증가, 원가절감
강 선 자 패 션 디 자 인 학 원
|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