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체 계측의 기본자세 및 인체 계측법의 분류
페이지 정보
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3-02-25 10:13 조회144회 댓글0건관련링크
본문
☞ 인체 계측의 기본자세 : 입체(입위) 정상자세 : 피복 구성에 필요한 체형을 계측하는 방법에는 인체 계측 기구를 사용하여 직접 계측하는 방법(직접법)과 사진을 찍어 간접적으로 체형 및 인체치수를 파악하는 방법, 석고로 형을 떠서 인체를 계측하는 방법(간접법)이 있다. : 인체계측의 기본자세는 입체(입위) 정상자세
※ 인체 계측법의 분류 - 1차원적 측정법 : 마틴측정법 [신장계, 간상계, 촉각계, 활동계] - 2차원적 측정법 : 슬라이딩게이지법, 각도법, 실루엣터법 - 3차원적 측정법 : 모아레법, 석고법
1. 직접법 [ 1차원적 계측법 ] : 마틴법 (계측용구로는 신장계, 간상계, 촉각계, 활동계, 줄자(둘레), 각도계 (어깨의 각도) : 인체각도계, 피하지방계, 슬라이딩 게이지법 , 휴즈법(자재곡선자) : 인체복원법(레프커법) - 석고 테이프법, 접착 테이프법, 종이치환법 - 직접법의 장점 : 굴곡 있는 체표의 실제길이를 얻을 수 있다. : 가장 경비가 적게 들고 쉽게 정보를 구하는 방법이다 - 직접법의 단점 : 계측자의 숙련이 요구된다. : 게측이 장시간 걸리기 때문에 피계측자의 자세가 흐트러져 자세에 의한 오차가 생기기 쉽다.
2. 간접법 [ 2, 3차원적 계측법 ] : 실루엣터법, 사진촬영법(무아레법), 석도포대법, 점지법, 입체사진법, 레이저광선법
※ 직접법의 특징 1) 인체의 체표면의 실측길이를 얻을 수 있다. 2) 측정기구의 기준화가 필요하다. 3) 측정점을 정확히 설정하고 측정기구를 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측정자의 숙련이 요구된다. 4) 측정이 장시간 걸리기 때문에 피계측자의 자세에 의한 오차가 생기기 쉽다. 5) 피측정자에 직접 측정기를 대어 계측하기에 피측정자의 협력이 요구된다. 6) 동일조건으로 다시 측정했을 때 같은 치수가 나오기 어렵다. 7) 측정을 위하여 넓은 장소와 환경의 정리가 필요하다.
※ 간접법의 특징 1) 정면, 측면의 사진으로부터 높이, 너비, 두께, 둘레, 인체각도 및 인체 실루엣에 관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. 2) 측정자에게 직접 기구극 대지 않고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. 3) 단시간 내에 사진 촬영를 하므로 피측정자의 자세변화에 의한 오차가 비교적 적다 4) 길이, 둘레 항목 중에서 계측이 곤란한 부위가 생긴다. 5) 사진상의 최외곽선이 실제 인체의 최외곽선과 오차가 있을 수 있다. 6) 목적에 따라서 6~8방향으로 인체를 촬영할 수 있어 가로 절단 체형과 세로 절단 체형을 얻을 수 있다. 7) 계측 기구가 비싸며 촬영기준, 계측기준의 설정이 비교적 어렵다.
강 선 자 패 션 디 자 인 학 원
|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