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느질 땀수 계산 방법
페이지 정보
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2-11-14 09:49 조회471회 댓글0건관련링크
본문
◈ 바느질 땀수 계산 방법 ◈
☞ 땀수 : 땀수는 일정한 거리내에 박혀진 땀(stitch)의 수를 말하는 것이다 : 대개의 경우 3cm 혹은 1인치를 기준으로 한다 : 일반적으로 Y-셔츠나 블라우스 종류의 제품에는 3cm에 13땀 : 얇은 피복에는 3cm에 9~11땀, 두꺼움 피복에는 3cm에 7~9땀 정도로 한다 : 특히 안쪽에서 박을 때는 겉쪽에서 박을 때보다 땀수를 많이 하는 것이 좋다 안쪽에서 박을 때 땀수를 적게 하여 봉제한 후 뒤집으면 빠져나오거나 원형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: 땀수 조절기에 적혀 있는 숫자(대개 0~4)는 박혀지는 한 땀의 길이를 mm로 표시한 것. : 예를 들어 1인치당 11땀으로 봉제할 경우 1인치=25.4mm(2.54cm)이므로 25.4/11=2.3mm 땀이 되어 땀의 길이가 계산될 수 있다.
※ 땀의 길이 1. 얇은 직물(견, 시폰, 오건디) : 1.5~2mm 2. 중간두께 직물 (모, 저지, 광목) : 2mm 3. 두꺼운직물 (데님, 두꺼운 수트지) : 2.5~3mm 4. 스판 직물 (면/폴리에스테르 스판) : 2mm 5. 비닐, 피혁 (특수비닐, 스웨이드) : 3~4mm
※ 재봉기의 속도 [RPM (revolution per minute : 1분간 회전수)] 1. 저속재봉기 : 800-1,800 R.P.M, 2. 준고속재봉기 : 2,500-3,500 R.P.M 3. 고속재봉기 : 4,000-4,500 R.P.M 4. 초고속재봉기 : 5,000 R.P.M
※ 봉사 장력 : 장력이란 봉사의 조임을 말한다. 실의 조임정 도는 땀을 형성하는 윗실의 양과 밑실의 양의 비로서 일반적으로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한다.
[ 봉사의 조임율(%)] = 봉목이 형성된 일정한 윗실의 길이 / 봉목이 형성된 일정한 밑실의 길이 x 100
강 선 자 패 션 디 자 인 학 원
|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